본문 바로가기
영화movie

역시 제일 무서운 건 사람, 영화 '마더스 인스팅트'

by 리틀킴 2025. 3. 13.
반응형

영화 '마더스 인스팅트' 포스터

 

 

앤 해서웨이와 제시카 차스테인이 주연한 영화 마더스 인스팅트(Mothers’ Instinct, 2024)는 바바라 아벨의 소설 Derrière la haine(Behind the Hate)을 원작으로 한 서스펜스 스릴러입니다. 이 영화는 1960년대 미국을 배경으로 두 이웃이자 친구였던 여성들이 예상치 못한 비극을 겪으며 점점 어두운 감정과 의심 속으로 빠져드는 과정을 그려냅니다.

 




1. 완벽했던 우정의 균열

'마더스 인스팅트'는 완벽해 보이던 두 이웃, 셀린과 앨리스의 삶에 균열이 생기는 과정을 섬세하게 묘사합니다. 영화는 1960년대 미국 교외를 배경으로, 절친한 친구이자 이웃인 셀린(앤 해서웨이)과 앨리스(제시카 차스테인)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두 사람은 남편과 아이들과 함께 완벽한 가정을 꾸리고 우아하고 여유로운 삶을 살아가던 어느 날, 셀린의 아들이 집에서 사고로 사망하는 충격적인 사건이 발생하면서 모든 것이 변하기 시작합니다.
셀린은 아들의 죽음으로 극도의 슬픔에 빠지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그녀의 감정은 단순한 슬픔을 넘어 불안과 의심으로 바뀝니다. 앨리스가 무언가를 숨기고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의구심이 커지면서 두 여성 사이의 관계는 점점 불안정해지고, 완벽했던 우정은 균열을 일으키기 시작합니다. 영화는 이 과정에서 심리적 긴장을 점점 고조시키며, 두 주인공의 감정 변화를 섬세하게 묘사합니다.

 

 

2. 심리적 긴장감과 서스펜스의 구축

'마더스 인스팅트'는 단순한 감정 드라마가 아니라 심리 스릴러 장르의 특징을 강하게 띠고 있습니다. 영화는 처음에는 고요하고 평온한 분위기로 시작하지만 셀린이 점점 앨리스에 대한 의심을 키우면서 분위기가 급격히 바뀝니다.
감독 브누아 들롬은 두 주인공의 미묘한 감정 변화를 세밀하게 포착하는 연출을 통해 긴장감을 극대화합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는 종종 클로즈업을 사용해 인물들의 눈빛이나 미세한 표정 변화를 강조하고, 공간의 배치를 활용해 두 사람 사이의 거리감과 감정적 긴장감을 시각적으로 표현합니다.

또한, 음악과 사운드 디자인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초반에는 따뜻하고 고전적인 음악이 흐르지만, 사건이 발생한 후부터는 불안감을 조성하는 음향이 배경에 깔리면서 심리적 압박을 더합니다.

 

3. 앤 해서웨이, 제시카 차스테인의 압도적인 연기 대결

'마더스 인스팅트'는 앤 해서웨이와 제시카 차스테인의 압도적인 연기 대결이 돋보이는 영화입니다. 두 배우는 각각 셀린과 앨리스의 복잡한 내면을 완벽하게 표현하며 관객에게 깊은 몰입감을 선사합니다. 특히, 서로를 향한 의심과 불안, 광기 어린 집착 등 다양한 감정을 섬세하게 표현하며  극의 긴장감을 고조시킵니다.

앤 해서웨이는 불안과 광기에 사로잡힌 셀린의 모습을, 제시카 차스테인은 냉철함과 불안을 동시에 지닌 앨리스의 모습을 완벽하게 소화하며 관객의 감탄을 자아냅니다. 두 배우의 뛰어난 연기력은 영화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 크게 기여했습니다.

 

 


4. 모성과 집착

이 영화의 핵심 주제 중 하나는 ‘모성’과 그 이면에 숨겨진 집착과 광기입니다. 셀린은 처음에는 단순히 아들을 잃은 슬픔을 겪는 엄마로 보이지만, 점점 그녀의 행동이 변하기 시작합니다.
처음에는 앨리스가 자신의 아들에게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고 느끼며 질투심을 갖게 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그녀의 감정은 점점 더 어두운 방향으로 흐르게 됩니다. 마치 아들의 죽음이 앨리스와 관련된 것처럼 의심하고, 점점 강박적인 태도를 보이기 시작합니다. 그녀의 감정은 단순한 의심을 넘어 복수심으로 변해 가며 결국 예상치 못한 충격적인 행동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영화는 모성애라는 이름으로 포장된 인간의 욕망과 집착이 얼마나 위험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지 경고합니다. 또한, 두 여성의 광기 어린 행동을 통해 인간 내면의 어두운 면을 섬세하게 묘사하며 관객에게 깊은 여운을 남깁니다.

 

 

 

5. 1960년대 미국 사회의 재현

영화는 1960년대 미국 사회의 폐쇄적이고 억압적인 분위기를 배경으로, 두 여성의 심리 변화를 더욱 극적으로 표현합니다. 당시 여성에게 강요되었던 역할과 사회적 제약은 두 사람의 불안과 광기를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영화는 시대적 배경을 통해 인간의 심리를 더욱 깊이 있게 탐구하며, 관객에게 다양한 해석의 여지를 제공합니다. 

또한, 1960년대의 패션과 음악, 미술 등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며, 관객의 몰입도를 높입니다.

두 주인공의 의상은 각각의 성격과 감정을 반영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초반에는 두 사람 모두 우아하고 정갈한 옷차림을 하고 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셀린의 의상과 스타일이 점점 무너지는 모습을 보이며 그녀의 심리적 불안정을 시각적으로 표현합니다. 반면 앨리스는 점점 조심스럽고 방어적인 태도를 보이며 그녀의 스타일도 변화하는 것이 눈에 띕니다.

 


마더스 인스팅트는 단순한 스릴러 영화가 아니라, 인간의 감정과 관계의 변화를 깊이 탐구하는 심리 드라마입니다. 
이 영화는 ‘우정이 어떻게 깨질 수 있는가’, ‘슬픔은 어떻게 분노로 변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지며 관객들에게 깊은 여운을 남기는 작품입니다.